농진청, 지중점적 자동 관개 기술 개발

[한국농어촌방송=정지혜기자] 지난해 밭작물 재배지 1만 8400ha에서 가뭄피해가 발생해 콩 수량이 전년 대비 5.8% 감소하는 등 노지 밭작물 피해가 늘고 있는 상황에서 정보통신기술 기반의 관개 기술이 개발되어 눈길을 끌고 있다.

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은 설치와 관리가 간단하고 농업 용수도 절약할 수 있는 ‘정보통신기술(ICT) 기반의 지중점적 자동 관개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노지 밭작물 재배 시 수월한 물 관리를 위한 것으로 땅 속에 관을 묻고 작물의 뿌리 쪽에 필요한 양만큼 물을 공급하는 방식이다.

점적호스(관)를 트랙터에 설치할 수 있도록 전용 매설기계를 개발, 특허 등록을 마쳤으며 주행하면서 최고 40cm 깊이로 점적호스를 묻을 수 있고 매설간격도 조절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을 활용해 실시간 토양 속 수분 관리도 가능해 부족한 양만큼 물을 공급하는 자동관개시스템도 구축했다.

ICT 기반 지중점적 자동관개 시스템 개발 / 자료=농진청
ICT 기반 지중점적 자동관개 시스템 개발 / 자료=농진청

특히 지중점적 관개시스템을 활용하면 노동력 부담은 덜고 물 이용 효율은 높여 농업용수 절약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시스템 설치에 드는 비용은 단위 면적(ha)당 약 2900만 원으로 기존의 스프링클러(1700만 원)에 비해 초기 설치비용은 더 높지만 반복적인 설치와 철거가 필요 없어 물관리에 소요되는 노동력 투입 비용이 들지 않는다.

실제로 이 기술은 작물의 뿌리 가까이에 물을 공급하므로 기존 방식 대비 유실되는 물이 적어 농업용수가 22% 절약 되었으며 무관개(2016∼2018) 대비 콩은 26%, 참깨는 37% 수량이 늘었으며, 지표점적(2018) 대비 콩은 9%, 참깨는 8%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진흥청은 ‘정보통신기술(ICT) 기반의 지중점적 자동 관개 기술’을 전국 9개 시군의 농가에 신기술 시범사업으로 보급하고 있으며 시범 지역을 점차 늘려갈 계획이다.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정태욱 생산기술개발과장은 “지중점적 자동관개기술을 이른 시기에 보급해 밭작물 재배 시 물 관리에 드는 노동력과 농업용수 사용량은 낮추고 생산량은 높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한국농어촌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